
첫번째 포인트
과하지 않아요 일을 잘하는 사람은 뭘 해도 과하게 하지 않거든요
근데 받아 보면 항상 기대 이상임.
힘이 빡 들어가고 엄청 성실하게 했고 이 사람이 밤을 샌 느낌 이런게 아니라,
어 이사람 이걸 해 왔네, 그래서 딱 뜯어보면 은근 깔끔함.
힘 조절하는 거 이게 진짜 어렵거든요
힘이 너무 많이 들어가 있으면 뭔가 보기에도 좀 불편해요
반면에 힘이 너무 빠져 있으면 그 사람을 끄는 힘이 없어요
그 완급을 조절하는 거 그게 저는 일할 때 낭비를 되게 줄인다고 생각을 하거든요
자기한테 맞는 시간에 자기의 효율을 잘 찾는 것.
그렇게 하는게 진짜 좀 담백하게 일을 하는 것 같고 그런 담백한 일을 서로 주고 받다보면 부담이 없어
이 사람이랑 일하는 무겁지 않다, 부담스럽지 않다, 그리고 이 사람 항상 기대 이상으로 일을 해온다
하는 그런게 있다면 일도 더 많이 들어오겠죠.
두 번째 포인트
기한을 진짜 잘 지켜. 그런데 그 기간을 잘 지키는게 어떤 느낌이 하면, 여유가 있는 느낌
빠듯하게 일해서 주는 느낌이 아니라, 이거 이렇게 넉넉하게 해놓은거 걍 딱 메일로 정시에 보내는 느낌.
일을 잘하는 사람들은 기한은 무조건 당연히 잘 지키는 거고, 여유있게 하더라구요. 그리고 여유가 느껴져 보여.
이게 또 중요한데 자료조사를 진짜 잘 합니다.
뭐 하나를 시켜도 자기가 먼저 다양하게 찾아봐요.
이게 이런 사례도 있고 이런 사례도 있구나 파악하고, 거기서 좀 제일 괜찮은 사례를 자기가 찾아서 적용 하거든요.
이게 진짜 효율이 좋다라고 생각하는게 자기가 무조건 다 부딪치면서 하다보면,
일을 할 때는 필요한 공부를 다 해가면서 할 시간이 없어요.
남들이 부딪혀 놓은 것들을 찾아서 그것을 사례로 접목을 다양하게 잘 시켜보는 게 효율적 이기도 하거든요
우리의 이제 업무 시간은 정해져 있잖아요
디자인할 때도 리서치를 진짜 잘 해와요. 그래서 레퍼런스를 보면 그 사람의 안목이랑 수준이 보여요.
세 번째 포인트
똑똑한데 게으른 타입. 그러다 보니까 최대 효율을 이끌어 내서 일합니다.
예전에는 저의 성실함을 큰 무기로 일해왔는데 이제는 성실하지 않으려 해요
너무 성실하게만 하다 보면 효율을 놓치기도 하고, 큰 그림을 못 보기도 하고.
그냥 스스로 어떤 프로세스를 세워서 그 안에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내 몸으로 다 하려고 하게 되더라구요
약간은 똑똑한 게으름뱅이가 될 필요가 있다.
네 번째 포인트
일은 항상 정확하게 해요. 말을 모호하게 하지도 않고 메일을 진짜 잘 씁니다
증거 남기기의 기본이 메일 커뮤니케이션이거든요.
왜 빠졌지 하는게 하나도 없어 찾아보면 다 있음.
이를 애초에 그렇게 전달을 해 주더라구요
그래서 정말 일을 하면서도 믿고 맡길 수 있고 저도 많이 배웠죠
다섯 번째 포인트
일 잘하는 사람들은 일을 심플하게 하는 것 같아요.
그래서 단순하게 핵심을 짚고요. 근데 이거는 제가 아까 말한 그 똑똑한데 게으른 것과도 연관이 됩니다
일을 복잡하게 하다 보면 너무 힘들거든요
그래서 자기가 어떤 복잡한 일을 받아도 자기 체계를 세워 놓고 그것을 소화해 내서
그 아웃풋을 전달을 해주는 그런 사람이 저는 진짜 일을 잘 한다고 생각해요
여섯 번째 포인트
딱딱하지 않아요 그 사람이랑 일을 할 때 뭔가 타협이 항상 가능하고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느낌
그래서 일을 하나 바뀌어도 이거 왜 이렇게 된거죠 하면
아 이건 이렇게 밖에 안되요 하는 사람이 있고,
어 이 부분은 근데 이런 대한도 있고 이런 대안도 있습니다 하는 사람 있어요
그 대안에 대해서 다양하게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대안을 이야기 할 때도 여유가 있어요
이런 대안이 있지만 지금 내 대안이 베스트 일걸
자기 기준을 갖고 이게 제일 좋긴 한데요 이것도 이곳도 됩니다
그래서 그 사람이 원하는 대로 결국 그런 디자인 시안이 나온다던가 일이 진행 된 다던가 하거든요.
일 잘하는 사람들이 유연한 사람이란 생각이 들어요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FByawpco8lg
'디지털 노마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웨이즈에서 벌쳐로 이전 잘한 일일까? 겪은 문제점들 (0) | 2023.07.11 |
---|---|
미드저니 셋팅 (/settings) 버전(version) 설정 알아보기 (0) | 2023.02.20 |
레드버블(REDBUBBLE) 잘 팔리는 키워드 찾는 5가지 사이트 소개 (0) | 2023.02.15 |
미드저니(midjourney) - 프롬프트 다양한 스타일 그림 만들기 1 (0) | 2023.02.15 |
레드버블 REDBUBBLE (0) | 2023.02.15 |
댓글